01. 컴퓨터란?
기본적으로 기계를 모아둔 것 (본체 내부에)
기계의 종류
메인보드 : 꽂아두기 (CPU,RAM,하드디스크 등을 꽂아서 이용할 때 사용)
CPU : 계산하기 (컴퓨터에서 수행하는 연산들을 계산할 때 사용)
RAM : 기억하기 (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킬 때 사용)
하드디스크 : 적어두기 (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 / 하드디스크 용량이 크면 저장을 더 많이 할 수 있다.)
02. OS (운영체제)
- 컴퓨터를 동작하도록 하는 것
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이 기계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.
이를 OS라고 한다.
OS의 종류
Window, Android, ios, Linux ...
03. 코딩
- OS에 명령을 내리는 것
인간은 OS에 명령을 내려서 컴퓨터에게 어떤 명령을 내려 그에맞는 동작을 수행시켜야 한다.
이러한 OS에게 명령을 내리는 것을 코딩이라고 한다.
04. 프로그래밍 언어
- 코딩을 하는 언어
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언어로 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해야한다.
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로는 Java, C++, C#, Python, Ruby, Javascript 등 이 있다.
이러한 종류는 인간의 언어로 치면 한국어, 영어, 이탈리아어, 일본어 등 같은 개념이다.
즉, 어떤 말로든 OS에게 명령을 내리기만 하면 컴퓨터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.
물론 각각의 언어도 장 단점이 있지만 이는 추후에 알아보기로 한다.
05. 프로그램
- 프로그래밍을 통해 만들어 실행시키면 매번 똑같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
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프로그램을 만들면 어떤 사용자가 이용하더라도
매번 똑같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프로그램이다.
프로그램의 종류
Powerpoint, Excel, Word, KakaoTalk 등
06. 인터넷
- 컴퓨터끼리 대화를 주고받는 창구
우리집에있는 컴퓨터와 철수집에 있는 컴퓨터끼리 소통을 하고 싶을 때?
인터넷을 통해 소통을 하면 된다.
07. 웹(http)
- 규칙있는 대화를 위해 만들어진 규칙
인터넷에서 컴퓨터끼리 소통을 하는데 주어, 동사, 목적어, 수식어 등 규칙이 없이 소통을 하면
제대로 된 대화가 이루어지지 못한다.
이처럼 인터넷상에서 컴퓨터끼리 소통을 할 때 필요한 규칙이 http이다.
https란?
http는 데이터 통신 간 보안을 위해 보안된 언어로 통신하여
컴퓨터끼리 대화를 할 때 그 대화를 보안화 시켜 가운데서 다른 컴퓨터가 엿듣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.
'개념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orward 방식과 Redirect 방식의 차이 (0) | 2022.06.30 |
---|---|
알고리즘 디자인 설계 : Flowchart와 Psuedo-code (0) | 2021.12.27 |
[BigInteger] 무한대로 큰 수를 계산해야 한다면? BigInteger (0) | 2021.11.05 |
[Deque] queue(큐)와 stack(스택)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deque(덱) (0) | 2021.11.04 |
[Junit] 단정함수 및 기능 (0) | 2021.10.22 |
댓글